블로그 이미지
kşaṇa 찰나[ 刹那 ]: 불교에서 시간의 최소단위를 나타내는 말. 산스크리트의 '크샤나',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권136에 따르면, 1찰나는 75분의 1초(약 0.013초)에 해당한다. 셔터스피드 1/75로 찍은 사진이 바로 찰나를 찍은 사진이겠다. 그러나 이설도 있다. 불교에서는 모든 것이 1찰나마다 생겼다 멸하고, 멸했다가 생기면서 계속되어 나간다고 가르친다. 찰나, 혹은 순간은 바로 그만큼의 시간인게다. primus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8)
Total
Today
Yesterday



Video streaming by Ustream

IMF 때 우리의 아버지들은 산을 찾거나 거리의 노숙자로 전락을 했지만 그 불안과 공포를 시믄들에게 쏟아내지는 않았다.

지금은 산을 찾는 대신 불안과 불만, 패배자,낙오자라는 자괴감에 빠져 그 불안과 불만을 오히려 시민들에게 표출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경제 성장을 외치던 지금의 대통령은 성장도 하지 못했고 국민과의 담벼락만 성장 시킨 채 민주주의의 퇴보를 가져오는 

최악의 대통령이 되었다.

경제 대통령의 기치를 내걸고 기업인의 이력을 등에 업고 당선이 되었지만 정작 그가 행한 국정은 마치 국민을 

자기 회사 사원 대하듯 한것이나 다를 바 없었다. 것도 악질 사장처럼.

지금의 대통령이나 대권에 도전하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나 그들의 이력에서 마땅히 국민을 위해 일 할 것이라는 

그들의 생각을 믿을 만한 구석은 당췌 찾아 볼 수가 없다. 

비록 짧은 3분짜리 토막 영상이고 화려하지도 않지만 인간 김두관이 걸어온 길을 잘 함축해놓았다.

온갖 화려한 스펙을 가진 기타의 정치인들에 비해 그의 이력이란 어쩌면 초라하기 까지 하더라도 그가 이루어 놓은 것을 돌이켜 보면  그렇게 훌륭한 스펙을 가지고 권력과 명예욕에 눈이멀어 국민들 등지고 제 부귀 영화에만 눈먼 구태에 빠진 기존의 정치인들과는 확실히 다른 올바른 길을 걸어왔다.

현실의 생활이 그랬고 정치인으로서의 생활도 그러했다. 개구리 올챙이적 시절 생각 못한 다는 말이 있다.

특히나 정치인들에겐 더할 나위 없이 새겨들어야 할 말이 아니겠나? 표 구걸 할땐 천하에 둘도 없는 마당쇠 모드였다가 당선만 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국민위에 군림 하려 드는 수만은 기성 정치인들에 비해 김두관이 걸어온 길은 개구리 올챙이 시절을 가슴 깊이 새겨 놓았기에 누구나 쉽게 보여 줄 수 없는 리더십과 추진력을 보여 줄 수 있었다.

경제민주주의를 올바로 이해하고 실천 할 수있는 사람, 불통의 시대로 역행 한 지금 다시 소통의 시대로 이끌 수 있는 사람,

바로 김두관이 아닐까 한다. 


Posted by primus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